독감 백신을 맞고 나서 숨졌다는 신고가 급증하면서 백신 접종에 대한 거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질병관리청은 현재로써는 백신을 사망 원인으로 볼 근거가 약하다는 입장인데요. <br /> <br />독감 백신을 둘러싼 논란을 팩트체크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정미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 <br />[정은경 / 질병관리청장(지난 22일 국정감사) : 아직 예방 접종에 대한 사망이라고 설명되지 않았고 관련성은 굉장히 낮다는 게 피해조사반의 검토 의견이었습니다.] <br /> <br />1. 독감 백신 탓 아니다? <br /> <br />대표적으로 알려진 독감 백신의 부작용은 중증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아나필락시스와 신경계 질환으로 몸에 마비가 오는 길랭 바레, 밀러 피셔 증후군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올해 사망 사례 가운데 비슷한 증상을 보인 경우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오히려 일부 사례는 사인이 질식 등 다른 이유로 판명 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동훈 / 내과 전문의 : (기도 질식도 혹시 백신 영향?) 그렇게 따지면 끝이 없어요. 사실은 날씨가 추워져서 돌아가시는 분들 있잖아요. 그럼 날씨가 사인이 될 수는 없는 것처럼….] <br /> <br />특히 올해 독감 백신을 맞은 사람은 천만 명이 넘지만, 99% 이상은 문제가 없었다는 점에서 백신 자체의 문제로 보긴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2. 독감 백신은 안전? <br /> <br />물론 독감 백신이 완벽하게 안전하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. <br /> <br />2013년 미국 논문을 보면 10만 명이 독감 백신을 맞았을 때 442명 정도는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간접적으로 기저 질환을 더 악화시키거나 알려지지 않았던 부작용이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. <br /> <br />[신상엽 / 감염내과 전문의(지난 21일 YTN 뉴스Q) : (백신에 따른) 이런 우리 몸의 염증반응이, 갖고 있던 기저 질환이나 이런 것들을 좀 악화시키거나 기존에 있던 급사 요인들을 악화시켰을 가능성은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독감 접종을 미루자는 주장이 나온 배경입니다. <br /> <br />[최재욱 / 대한의사협회 과학검증위원장 : 집단 면역 형성하는 것이 조금 늦어질 수 있지만 지금은 모든 국민인 사회적 거리 두기와 마스크 착용 잘 하고 있기 때문에 독감이 예전처럼 유행하지 않습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의사협회에서도 백 년 가까이 이어온 독감 백신의 효과를 부정하진 않습니다. <br /> <br />3. 백신 맞는 게 더 낫다? <br /> <br />우리나라에서 한해 독감으로 숨지는 사람은 백신 피해 인원보다 훨씬 많은 7백 명에서 2천여 명. <br /> <br />뚜렷한 인과관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1024000452809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